운영업무

회사 운영업무에 필요한 세무, 세무용어, 기업지원정책, 무료서식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

부가가치세

법인세 및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의 관계 (feat 절세전략)

오늘은 법인세 및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법인사업자는 보통 3월(결산일이 속한 달의 마지막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법인세를 신고하고, 개인사업자는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데요. 반면에 부가가치세는 보통 법인사업자가 1년에 4번, 개인사업자가 1년에 2번 신고합니다. 이렇게 따로따로 신고하는 세금이라 이들 사이에 별로 관계성이 없어 보이는데, 사실은 법인세나 종합소득세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게 바로 부가가치세입니다. 그전에 조금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

엑셀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2023년 기준)

지난 시간에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그때 언급한 기준을 근거로 엑셀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를 만들어 봤습니다. 나름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문서와 노무사들의 답변을 참고하였습니다. 아래에서 다루겠지만, 나의 시급, 일 근무시간, 주 근무일수만 알면 주휴수당은 거의 바로 나오는 것 같습니다. 계산식을 참고하여 여러분들도 한번 만들어 보세요. 😅😅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엑셀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를

주휴수당계산법

주휴수당 조건 및 주휴수당 계산법 (2023년)

일주일 동안 회사와 계약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경우에 근로자는 1일의 유급 주휴일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때 발생하는 하루치의 급여를 바로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 조건은 대부분의 급여소득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데,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일주일에 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되는데, 이 경우에는 월급을 받는 근로자라 할지라도 시간제 근로자처럼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세무용어] 원천징수 뜻,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알아보기

오늘 알아보는 원천징수란 한 마디로 근로자의 소득에서 국가에 내야 할 세금을 회사가 대신 납부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회사를 원천징수의무자라고 하고, 근로자를 원천납세의무자라고 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하는 말 중에 월급쟁이 세금은 미리 떼어간다고 자주 말하는데, 실제로 근로자는 급여를 받기 전에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고 나서 급여를 받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왠지 눈물이 나는 걸

세무용어-누진공제액

[세무용어] 누진공제액 뜻과 종합소득세 법인세 예시

세무에서 누진공제액이란 용어는 보통 종합소득세 또는 법인세와 같이 소득세를 납부할 때 자주 나오는데요.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세율이 정해지면 구간별로 누진공제액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누진공제액이란 소득세를 계산할 때 과세표준과 세율을 곱한 금액에서 차감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누진공제액 뜻 세무에서 누진공제액이란 과세표준에서 소득세율 곱한 후에 해당 구간별로 공제해 주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그림 1)은 2022년의 종합소득세율과

법인세 신고기간 및 법인세율 알아보기

법인세 신고기간 및 개정된 법인세율 알아보기 (2023년)

개인이나 개인사업자가 납부하는 종합소득세처럼 법인사업자가 납부하는 소득세를 법인세라고 합니다. 매년 5월에 직전 연도 소득에 대해서 신고한 후 납부하는 종합소득세와는 달리 법인세는 신고기간이 유동적입니다. 법인세는 결산일(법인의 사업연도 종료일)이 속한 달의 마지막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2월 31일을 결산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인세의 신고기한은 다음 해 3월 31일까지라고 보는 게

과세표준

[세무용어] 종합소득세 법인세 과세표준 알아보기

과세표준은 흔히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통 소득세를 납부할 때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입니다. 개인이나 개인 사업자가 납부하는 종합소득금액의 과세표준이 있고, 법인사업자가 납부하는 법인세 과세표준이 있는데요. 오늘은 과세표준의 전문적인 의미보다는 일반인이 쉽게 접하게 되는 세무 부분에서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과세표준 1. 종합소득금액 과세표준 매년 5월에 납부하는 종합 소득세는 보통 개인 또는 개인 사업자가

소득세율표-2023년

소득세율표 최신 개정 바로가기 (www.law.go.kr/법령/소득세법/제55조)

근로 소득세율 및 종합 소득세율 최신 개정으로 인하여 2023년 귀속분부터 소득세율표가 변경되었습니다. 오늘은 개정된 소득세법 전문을 살펴보고,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소득세율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소득세율표는 과세표준 구간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이번에 개정된 부분이 바로 과세표준 구간의 변경입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누진공제에 대해서는 개정된 소득세율표를 말씀드린 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 소득세법 최신 개정 바로가기 국가법령정보센터

위로 스크롤